Under the Biden administration, the US-China competition in the global supply chain is accelerating. From areas ranging from batteries, semiconductors to electric vehicles, blatant attempts to formulate specific policies that would lead to rebuilding supply chains beneficial for their own national interests are being constructed from both sides. Such technological race is turning into competition and confrontation in the diplomatic and security, political and trade arena. Main stage of this intense competition is East Asia. Especially, Korean industries and corporations are at the forefront of the shifting supply chains. To what extent would the supply chains change and what direction would it go in? How much would the existing supply chain be reorganized in East Asia? Also, how would concerned Korean firms respond to the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environment? This session aims to find solutions for the questions presented above. The session will be an opportunity to evaluate the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that East Asia and Korea will face. Moreover, this session will also entail interesting discussion on the various strategical choices that related companies and industries can make.
바이든 정부 이래 미국과 중국 간의 공급망 경쟁이 더 가속화되고 있다. 배터리, 반도체, 전기차 등에서 자국에 유리한 공급망을 건설하려는 구체적인 정책들이 노골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기술경쟁이 외교, 정치, 통상, 안보 등 각 분야에서의 경쟁과 대립으로 확산되고 있다. 그리고 이 같은 경쟁이 벌어지는 주요 현장은 동아시아이다. 특히, 한국의 산업과 기업은 이 같은 동아시아 공급망 변동의 최전선에 놓여있다. 이 같은 공급망 경쟁이 어디까지 가능하고 어떤 방향으로 전개될 것인가? 동아시아에서 기존에 형성되었던 공급망이 어느 정도 재편될 수 있을 것인가? 그리고 한국과 관련 기업들은 이 같은 국제환경에 어떻게 대응해야 할 것인가? 이 세션에서는 위의 세 가지 질문에 해답을 찾고자 한다. 동아시아와 한국이 맞이할 도전과 기회를 점검해 보고, 관련 산업 및 기업이 취할 수 있는 다양한 전략적 선택에 대한 흥미로운 토론이 기대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