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ME | 13:30 ~ 15:00 |
---|---|
ORGANIZATION |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Institute for Peace and Unification Studie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
SESSION |
한반도의 평화와 번영을 위한 협력: 식량, 영양, 자원 |
ROOM | 203 |
본 세션에서는 한반도의 평화와 번영을 위한 협력 방안을 식량, 영양, 자원의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북한은 2021년에 발표한 지속가능개발에 관한 자발적 보고서(Voluntary National Reports)에서 취약한 농업 실태를 인정한 바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도 북한의 목표 곡물 생산량은 700만톤이었지만, 실제 곡물 생산량은 552만 톤으로 148만 톤이 미달하였으며, 당시 5세 미만 아동의 발육부진 비율은 약 17%로 2012년의 28%에 비해 감소하는 추세이나 여전히 높은 편에 속한다. 따라서 본 세션에서는 이러한 북한 식량문제의 원인과 해결을 논의하기 위해 우선 북한의 식량문제를 ‘생산’과 ‘유통’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북한 영양실태에 대해서는 현황과 문제점에 대해 논의한 후 개선 방안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접근의 현실성을 높이기 위해 남북협력의 시작지점인 접경지역의 자원관리를 위한 협력 방안에 대해서 논의하고자 한다. In this session, we aim to explore strategies for cooperation towards peace and prosperity on the Korean Peninsula, focusing on three aspects: food, nutrition, and resource management. North Korea, in its 2021 Voluntary National Reports on sustainable development, acknowledged the challenges facing its agriculture sector. The report revealed that North Korea's grain production target for 2020 was 7 million tons; however, the actual output amounted to only 5.52 million tons, falling short by 1.48 million tons. Furthermore, the stunting rate among children under five was approximately 17%—a reduction from 28% in 2012, yet still alarmingly high. This session is designed to dissect North Korea's food issues into ‘production’ and ‘distribution’ for in-depth discussion. Regarding the nutritional status within North Korea, we will examine the current situation and challenges before considering potential improvement strategies. Finally, to enhance the practicality of our approach, we will discuss cooperative strategies for managing resources in the border regions, which represent the initial steps towards inter-Korean cooperation. |
|
|
Speaker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