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ME | 19:00 ~ 20:20 |
---|---|
ORGANIZATION | 제주평화연구원 |
SESSION |
평화 측정방식의 장단점 |
ROOM | Emerald |
There has been an ongoing debate on the effectiveness of quantitative analysis in social science. Particularly, the methodological controversy in International Relations (IR) is much more intense than other social sciences because IR scholars tend to emphasize abstract concepts such as power, war, and peace, which are hard to be quantified. In this session, we focus on the measure of peace. There are various concepts regarding peace, including ‘negative peace’ and ‘positive peace.’ we will summarize and evaluate each peace concept. In addition, we will examine the benefits and limits of the several peace indexes and discuss whether big data analysis needs to be considered as a complimentary tool to develop the peace index. We will also deal with several cases of the peaceful relationship between countries through these methods. 사회과학에서 정량적 분석에 대한 논쟁은 오랜 기간 지속되어 왔다. 특히 국제정치학에서 이러한 방법론 논쟁이 치열하게 전개되어 온 바, 그 이유는 국제정치학에서 중요하게 다루는 권력, 전쟁, 평화 등과 추상적 개념들을 수치화하기 힘들기 때문이었다. 이 세션에서는 평화를 측정하는 방식에 주목한다. 평화에 대한 개념은 ‘소극적 평화’에서 ‘적극적 평화’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논의가 진행되는 만큼, 이러한 평화 개념을 정리하고 그 필요성과 한계를 논의할 예정이다. 또한, 현재 활용되고 있는 각종 평화지수(peace index)의 장단점을 알아보고 보완적 방법으로서 빅데이터를 활용한 평화지수에 대해서 논의한다. 국가 간 평화관계를 다루는 사례연구를 통해 빅데이터 기반의 평화지수가 갖는 적실성도 검토한다. |
|
|
Speaker |
[Moderator] LIM Sijeong [Speaker] PARK Jong Hee [Speaker] NYGARD Håvard Mokleiv [Discussant] WOO Byungwon [Discussant] RYU Ki Eun [Discussant] CHOI Chonghyun |
---|